• 최종편집 2025-07-09(수)
  • 로그인
  • 회원가입
  • 지면보기
  • 전체기사보기
 

성공으로 인도하는 힘, 마치효과 활용하기 (1/2) [제 3,829회]

mount-rushmore-2792150_1920.jpg

옛날에「큰바위 얼굴」이라는 동화가 있었다. 마을 앞산 큰 바위에 훌륭하고 멋진 지도자 같은 얼굴이 새겨져 있었는데, 마을 사람들은 언젠가는 그런 지도자가 나타나기를 소망하며 살아가고 있었다. 


어떤 소년이 매일같이 큰바위 얼굴을 바라보며 그 사람을 만나기를 기다렸는데,  결국은 그 소년이 장성하여 큰바위 얼굴의 주인공이 되었다는 이야기이다.


"인간은 생각하면서 닮아간다"라는 말이 있다. 시집살이에 시달리던 며느리가 나쁜 시어머니라고 욕하며 살다가 보면 자신도 모르게 며느리에게 똑같은 시어머니가 되고,


술주정뱅이 아버지의 행패를 보면서 자란 아들이 "나는 아버지처럼 되지 말아야지..." 하지만 그 아들이 자라면 어느새 술주정뱅이가 되고 만다는 말도 있다.


상상 [想像, imagination]이란 과거의 경험으로 얻어진 심상(心像)을 새로운 형태로 재구성하는 정신작용을 말한다.  


단순한 기억과는 구별된다. 기억은 과거의 경험을 그대로 생각해 내는 것이고, 사고(思考)는 추상적 개념을 구사하는 것으로 이미 지에 의존하지 않고, 망상(忘想)이나 환각 (幻覺)은 있지도 않은 것을 현실처럼 생각 해 내는 것이고, 공상은 상상의 내용이 현실 에는 없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을 말한다.


상상을 세 가지 종류로 나눌 수 있는데,  첫째가 백일몽이다. 현실도피적인 상상으로 예를 들면, 땡전 한푼 없는 사람이 한순간에 세계 최고의 갑부가 되어 있기를 기대한다 거나, 어느 왕국의 무남독녀 공주가 찾아와 결혼해 줄 것이라는 식의 도저히 이루어질 수 없는 터무니없는 꿈을 꾸는 것을 말한다.


두 번째로 상징적 상상이 있다. 아이들이 빗자루에 올라타고 하늘을 나는 것처럼 여기거나, 사막의 모래 위에 누워있으면서 고급 호텔의 풀에서 수영하고 있는 것처럼 생각하는 것 등이 그것이다.


세 번째는 목적적 상상이 있다. 예를 들면,  취업하려는 사람이 이미 그 회사의 사원이 된 것처럼 상상하면서 자기소개서를 작성하 거나 면접시험을 준비하는 것 등을 말한다.


네 번째는 생산적 상상이다. 이것은 희망과 목적을 가진 상상으로 예를 들면, 인간이 달나라에 간 것이나 서울대 황우석 교수 팀이 당뇨병 같은 난치병들을 퇴치하겠다는 의지로 세계 최초로 줄기세포 연구에 성공한 것처럼 새로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과거의 경험을 재구성하여 새로운 것을 만들어내는 행위를 말하는 것이다.


상상에는 희망과 가능성이 수반되는 플러스 상상이 있고 두려움과 좌절을 안겨주는 마이너스 상상이 있다. 상상을 성공 또는 실패의 에너지로 바꾸는 힘이 바로 상상력 이다. 상상력은 그 사람의 생각과 행동을 바꾸고 이미지를 바꾼다.


성공한 사람들의 공통점 중에 하나가 풍부 한 가능성을 지닌 상상력을 품고 있었고 또한 그 상상력을 행동으로 실천하려는 의지와 노력이 수반되었다는 것이다.


나폴레옹 보나빠르뜨는 "인류는 상상력에 의해 통치된다"고 하였고, 영국의 시인 윌 리엄 워즈워드는 "상상력은 멸망하지 않는 통치자이다"라고 하였다. 


이 상상력 이라는 통치자가 자신을 성공으로 이끌것인가, 아니면 불행으로 이끌 것인가는 자신의 상상력을 성공의 도구로 삼을것인가  아니면 불행의 도구로 삼을 것인가에 달려 있는 것이다.


잠재된 능력을 성공으로 이끌어 내는 방법 중에 하나가 바로 플러스 상상이다. 오감을 통해 떠올린 이미지를 잠재의식에 침투시켜 사람의 내면을 변화시키는 방법이다. 


플러스 상상으로 내면이 변화하고 그 결과 시야가 넓어지면 외부세계가 집합적 무의 식과 상호작용을 일으켜 자신에게 의미 있는 우연들이 빈발하면서 결국 소망이 실현된다 는 설명이다.(내일 2부로 이어집니다.)


오늘도 플러스 상상으로 늘 모든 일들이 잘 되는 멋진 8월을 맞이하시기를 응원합니다.


한국이미지메이킹학회

초대(명예)회장 박철효

태그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성공으로 인도하는 힘, 마치효과 활용하기 (1/2)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