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5-01-24(금)
  • 로그인
  • 회원가입
  • 지면보기
  • 전체기사보기
 
20241216_132404.png
소설 '소년이 온다'의 표지이다.(사진=표지 캡쳐)

 

한강의 소설 『소년이 온다』는 1980년 5월 광주 민주화운동을 배경으로 한 비극적 서사를 통해 인간의 존엄성과 폭력의 문제를 정면으로 다룬 작품이다. 한강은 단순히 사건의 전말을 서술하는 데 그치지 않았다. 한강 작가는 억압적 체제 속에서 개인과 집단이 겪는 고통의 본질을 탐구하며 독자에게 깊은 성찰을 요구한다.


폭력의 얼굴, 그리고 그 너머

소설은 열다섯 살 소년 동호의 시점에서 시작된다. 동호는 친구의 죽음을 확인하려고 광주의 한 체육관으로 들어가면서 국가 폭력의 참혹한 현실과 마주한다. 이후 이야기는 동호를 둘러싼 여러 인물의 시점으로 전개된다. 그러면서 각기 다른 목소리를 통해 폭력의 다층적인 얼굴을 보여준다.


한강은 이 과정에서 폭력이 남긴 흔적을 감각적으로 묘사한다. 특히 시신의 상태나 폭력을 직접 목격한 인물들의 트라우마를 세세히 그려내 독자에게 그 고통을 생생히 체험하게 만든다. 이러한 묘사는 단순히 고통을 나열하는 데 그치지 않았다. 작가는 폭력의 비인간성과 그에 맞서는 인간의 존엄성을 강렬히 대조하며 이야기를 이끈다.


기억과 증언의 윤리

『소년이 온다』는 피해자뿐 아니라 살아남은 자의 죄책감과 기억의 무게를 중심으로 이야기를 확장한다. 동호를 기억하는 주변 인물들은 각자의 방식으로 그의 죽음을 기억하고 애도한다. 이들은 모두 자신이 목격한 참상을 외면하거나 잊을 수도 없는 상황에 놓여 있다.


한강은 이 작품을 통해 역사적 사건을 기록하고 증언하는 행위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잔혹한 현실을 외면하지 않는 것은 고통스럽지만 그것만이 진실과 마주하고 새로운 사회로 나아가는 첫걸음이 된다는 메시지를 전달한다. 이는 곧 역사를 기록하고 공유해야 할 윤리적 책임으로 이어진다.


문학적 실험과 서사의 힘

『소년이 온다』는 서사적 실험과 시적 문체가 돋보이는 작품이다. 각각의 시점에서 전개되는 이야기들은 단편적으로 보인다. 하지만 각 이야기는 모두 모여 하나의 거대한 비극적 풍경을 형성한다. 한강의 문체는 잔혹한 현실을 전달하면서도 섬세하고 시적이다. 감정의 과잉 없이 절제된 언어로 쓰였기에 오히려 독자에게 깊은 울림을 준다.


특히 소설 후반부에서 동호의 영혼이 화자로 등장하는 장면은 이 작품의 정점이다. 살아 있는 이들의 고통을 지켜보는 죽은 자의 시점은 비극적이면서도 아름다움을 띤다. 이는 죽음마저 초월한 폭력의 그림자를 상기시키며 그 고통의 끝없는 여운을 남긴다.


개인의 고통에서 집단의 역사로

『소년이 온다』는 광주라는 특정한 공간과 시간을 배경이지만 궁극적으로는 국가 폭력과 인간 존엄성에 관한 보편성을 이야기하고 있다. 동호와 주변 인물들이 겪는 고통은 특정한 시대와 장소에 국한되지 않고 현재를 살아가는 독자들에게도 깊은 질문을 던진다.


작품은 과거의 상처를 기록하는 것에서 나아가 그 상처를 치유하고 새로운 길을 모색해야 한다는 희망 메시지로 귀결된다. 결코 고통의 기억은 사라지지 않는다. 하지만 이를 외면하지 않고 정면으로 바라볼 때 인간은 비로소 앞으로 나아갈 수 있다.


기억해야 할 이야기

『소년이 온다』는 잔혹한 현실을 외면하지 않는 용기로 쓰인 작품이다. 한강은 광주라는 역사적 비극을 통해 인간의 존엄성, 폭력의 본질, 그리고 기억과 증언의 중요성을 설파한다. 이 작품은 단순히 과거를 돌아보는 것에 그치지 않았다. 그리고 우리 사회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고민하게 만든다.


『소년이 온다』는 문학이 어떻게 고통을 기록하고, 역사를 증언하며, 인간에게 질문을 던질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다. 독자는 이 작품을 통해 광주의 아픔을 함께 나누고, 그 기억을 되새기며, 더 나은 미래를 만들어 가는 힘을 얻는다.

태그

전체댓글 0

  • 00730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한강 작가의 『소년이 온다』 고통의 기록, 역사의 증언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