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5-01-24(금)
  • 로그인
  • 회원가입
  • 지면보기
  • 전체기사보기
 
무제-1-[복구됨].png
지난 9일 한국갤럽이 밝힌 자료의 일부분이다.(사진=한국갤럽 캡쳐)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 심판이 본격화되면서 여론조사 결과가 정치권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하지만 여론조사의 응답 성향을 분석해 보면 보수층과 진보층의 반응이 현 상황에 따라 크게 엇갈리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헌법재판소는 윤 대통령 탄핵소추안에 대해 '8인 체제'로 심리를 진행 중이며 여론조사에서 '탄핵 찬성'은 69%, '탄핵 반대'는 26%로 집계됐다. 그러나 응답 비율과 적극적 참여의 배경을 보면 보수층의 조직적인 응답과 진보층의 상대적 소극적 참여가 결과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이번 여론조사는 전화조사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이동통신 3사의 가상번호를 통해 응답자를 무작위로 추출했다. 응답률이 16.3%로 낮은 수준이었는데 이는 보수층의 결집과 적극적인 여론조사 참여가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윤 대통령 탄핵소추안 가결 이후 국민의힘 지지층이 결집하여 반대 의견을 강하게 표출했으며 그 결과 '탄핵 반대' 응답 비율이 지난달 대비 상승했다는 점이 이를 뒷받침한다.


특히 보수 성향의 유권자들은 윤 대통령 체포영장이 불발된 상황을 계기로 자신들의 목소리를 높이려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국민의힘 내부에서 '우리가 지지층의 결집을 이끌어냈다'는 평가로 이어지기도 했다.


반면, 진보층에서는 윤 대통령의 체포영장이 불발된 데 대한 실망감이 여론조사 참여 의욕을 저하시켰다는 분석이 나온다. 더불어민주당 지지층은 탄핵소추안 가결 이후 한때 높아졌던 기대감이 체포 불발로 인해 한풀 꺾인 상황이다. 이에 따라 여론조사 참여율이 감소하며 결과에 영향을 미쳤다.


갤럽 조사에서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차기 대선주자 선호도에서 1위를 기록했지만, 부동층 비율이 33%로 높아 조기 대선 상황에서 진보층의 확실한 결집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진보 지지층이 아직 정치적 충격에서 벗어나지 못한 상태라는 해석으로 이어진다.


여론조사에서 보수층과 진보층의 대립 양상이 극명하게 드러나면서 결과 해석에 주의가 필요하다. 보수층은 탄핵 심판 국면에서 결집력을 발휘하며 여론조사에 적극적으로 참여했지만, 진보층은 상대적으로 소극적인 참여로 인해 실제 민심을 온전히 반영하지 못했을 가능성이 크다.


결국, 이번 여론조사 결과는 보수와 진보의 응답 비율 차이와 탄핵 정국에서의 심리적 반응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여론조사 결과를 단순히 지지율의 변화로 해석하기보다는, 양측의 동원력과 참여 의욕 차이를 고려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여론조사에서 나타난 지지도와 탄핵 찬반 응답은 현재의 정치적 흐름을 일부 반영하긴 하지만, 보수층의 조직적 참여와 진보층의 소극적 반응이 결과에 큰 영향을 미쳤다는 점을 간과할 수 없다.  

태그

전체댓글 0

  • 50160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본격화, 여론조사 결과에 담긴 양면성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