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5-03-17(월)
  • 로그인
  • 회원가입
  • 지면보기
  • 전체기사보기
 
20250207_131707.png
가수 송대관이 7일 오전 세상을 떠났다.(사진=MBC)

 

트로트계의 거목 송대관이 7일 오전 세상을 떠났다. 향년 78세. 그는 최근 건강이 악화해 서울대학교병원 응급실로 긴급 이송됐고 입원 치료를 받던 중 심장마비로 별세했다. 


빈소는 서울대학교병원 장례식장에 마련될 예정이며, 장례 절차는 유족들과 논의 후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송대관은 평소 지병으로 인해 여러 차례 수술받았지만 음악에 대한 열정을 멈추지 않았다. 가까운 측근에 따르면 그는 마지막까지 공연을 준비하며 무대에 대한 애정을 드러냈다고 한다. 


한 측근은 "몸이 좋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늘 무대를 사랑했던 분이었다"라며 "공연 중에도 '형, 모르냐'며 열정을 불태웠다"고 회상했다.


그는 최근에도 KBS 가요무대에 출연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며칠 전 컨디션이 좋지 않아 출연을 미룬 바 있다. KBS 가요무대 최헌 작가는 "며칠 전까지도 대화를 나누었는데, 갑작스러운 비보에 충격을 금할 수 없다"며 안타까움을 표했다.


송대관은 1946년 전라북도 정읍에서 태어났다. 음악에 대한 꿈을 안고 1967년 인정 많은 아저씨로 데뷔해 꾸준한 활동을 이어갔다. 하지만 데뷔 후 몇 년간 큰 주목을 받지는 못했다.


그가 본격적으로 이름을 알리기 시작한 것은 1975년 발표한 해뜰날이 전국적인 히트를 기록하면서부터다. "쨍하고 해뜰날 돌아온단다"라는 희망 가사로 당시 어려움을 겪고 있던 많은 사람에게 위로와 용기를 주며 송대관을 국민적인 가수로 자리매김하게 했다.


이후에도 그는 수많은 히트곡을 남겼다. 정 때문에, 차표 한 장, 큰 소리 뻥뻥, 고향이 남쪽이랬지 등은 시대를 초월해 사랑받았다. 그의 음악은 단순한 유행가를 넘어 삶의 희로애락을 담아내며 세대를 뛰어넘어 많은 이들에게 감동을 주었다.


송대관은 태진아, 현철, 설운도와 함께 '트로트 4대 천왕'으로 불리며 대한민국 트로트의 황금기를 이끌었다. 특히 태진아와는 오랜 세월 라이벌과 친구로서 함께 성장하며 많은 이야깃거리를 만들어왔다.


두 사람은 때로는 경쟁자로 때로는 든든한 동료로 트로트계를 빛냈다. 송대관은 과거 인터뷰에서 태진아와의 관계에 대해 "우리는 싸울 수도 있지만, 결국 음악으로 이어진 인연"이라고 말한 바 있다.


그는 트로트의 전통적인 색채를 유지하면서도 시대에 맞게 변화를 시도했고 후배 가수들에게도 많은 영향을 미쳤다. 트로트가 한때 침체기에 접어들었을 때도 그는 꿋꿋이 무대에 섰고 최근 트로트 열풍 속에서도 여전히 관객들과 함께 호흡하며 무대를 지켰다.


송대관의 별세 소식이 전해지자 많은 팬과 동료 가수들이 충격과 슬픔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빈소에는 이른 아침부터 조문객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으며 그의 음악 인생을 되새기는 목소리도 많아지고 있다.


트로트 가수 후배들은 "송대관 선배님은 언제나 무대 위에서 가장 빛나는 분이었다", "트로트의 한 시대를 함께한 큰 별이 졌다"라며 애도를 표했다.


팬들 역시 "그의 노래를 들으며 힘든 시절을 견뎠다", "해뜰날을 들으며 다시 일어설 힘을 얻었는데 너무 안타깝다"는 반응을 보이며 그의 명복을 빌었다.


송대관은 한국 대중음악 역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인물이다. 50년이 넘는 시간 동안 대중의 사랑을 받으며 대한민국 트로트의 정수를 보여주며 수많은 명곡을 남겼다.


그의 노래는 단순한 유행가가 아니라 한국인의 삶과 정서를 담아낸 음악으로 오랫동안 기억될 것이다. 그는 떠났다. 하지만 그의 음악과 무대 위에서 보여준 열정은 영원히 팬들의 가슴 속에 남아 있을 것이다.


고인의 명복을 빌며 유가족들에게 깊은 위로를 전한다.

태그

전체댓글 0

  • 78493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트로트 거장 송대관, 향년 78세로 별세… 한국 대중음악사에 남긴 유산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