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5-03-17(월)
  • 로그인
  • 회원가입
  • 지면보기
  • 전체기사보기
 
2215657.jpg
이미지 사진이다.(사진=연합)

 

정부가 의과대학 정원 확대 정책을 유지하는 대신 의대생들의 이달 말까지 복귀를 요구한 가운데 서울대학교, 연세대학교, 고려대학교 의대가 미복귀 학생들에 대한 강경 대응을 예고했다. 이에 따라 의대생들의 학사 복귀 여부가 초미의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12일 뉴시스 취재에 따르면 김정은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장은 교수진에게 보낸 서한에서 “학생들은 3월 27일까지 휴학을 철회하고 복학원을 제출해 정상 수업에 복귀해야 한다”라고 밝혔다. 


그는 “기한 내 복학원을 제출하지 않을 경우, ‘서울대학교 학칙’에 따라 미등록 제적 또는 유급 처리가 될 수 있다”라며 강경한 입장을 전했다.


김 학장은 ▲집단행동을 위한 휴학 불가 ▲학사 유연화 불가 ▲원칙적인 학사 관리 준수 등의 원칙을 강조하며 휴학 승인은 절대 불가하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또한, 복귀 학생에게 성적 및 경력 관리에서 불이익이 없을 것이라는 점도 명확히 했다. 그는 “성적 부여와 전공의 선발 결정 권한은 교수진에게 있으며 서울대 의대와 부속병원은 복귀한 학생들에게 학업 및 수련 과정에서 불이익이 없도록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수업 복귀를 방해하는 행위에 대해서는 중징계를 포함한 강력한 대응이 이루어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앞서 연세대학교 의과대학도 미복귀 학생에 대한 제적 조치를 경고한 바 있다. 최재영 연세대 의과대학장은 최근 교수진에게 보낸 서신에서 “3월 24일 이후 추가 복귀 일정은 없다”며 복귀 기한을 못 박았다. 


그는 “가능한 한 학생들의 복귀를 독려하고, 미복귀 의사를 가진 학생들에게는 등록 후 휴학을 권유해달라”고 요청했다.


연세대는 미등록 휴학 신청자에게 오는 24일 ‘미등록 제적 예정 통보서’를 발송할 예정이며 이를 통해 기한 내 복귀하지 않는 학생들에 대한 학사 조치를 예고했다.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역시 미복귀 학생들을 대상으로 유사한 경고를 내놨다. 학교 관계자에 따르면 편성범 고려대 의과대학장은 최근 학생들에게 보낸 메시지에서 “학칙에 따라 원칙대로 조치할 것”이라며 기한 내 복귀를 촉구했다.


고려대 의대는 최종 등록 및 복학 신청 마감 기한을 오는 3월 21일까지로 설정했다. 관계자는 “학생들이 복귀할 수 있도록 최대한 유도하고 있으며 미복귀 시 학칙에 따른 조치를 진행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처럼 주요 의과대학들이 잇달아 강경한 학사 조치를 예고하면서 의대생들의 복귀 여부가 최대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정부는 의대생들이 이달 말까지 복귀할 경우, 내년도 의대 정원을 기존 3,058명 수준으로 유지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하지만 학내 분위기는 여전히 팽팽하다.


일각에서는 정부와 대학 측의 강경한 학사 조치가 의대생들의 복귀를 압박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반면, 집단행동을 이어가는 학생들 사이에서는 강경 대응이 오히려 반발을 키울 가능성도 제기된다.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의대의 복귀 시한이 다가오는 가운데 대학 측이 실제로 미복귀 학생들에 대한 제적 조치를 단행 여부와 의대생들이 이에 어떻게 대응할지 귀추가 주목된다.

태그

전체댓글 0

  • 90489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서울대·연세대·고려대 의대, 미복귀 학생 제적 조치 시사…복귀 시한 압박 가속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