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5-07-14(월)
  • 로그인
  • 회원가입
  • 지면보기
  • 전체기사보기
 

윤석열, 국민의힘 전격 탈당…“김문수에게 힘 모아달라”

보수 결집 외치며 떠났지만 국민 요구엔 침묵

[서울=2025.05.17.] 윤석열 전 대통령이 17일 오전 국민의힘을 전격 탈당했다. 이는 김용태 비상대책위원장의 탈당 요구가 나온 지 이틀 만이자, 대선 TV토론을 하루 앞둔 시점에서 전격적으로 이뤄진 결정이었다.

윤 전 대통령은 이날 오전 9시 페이스북에 “저는 오늘 국민의힘을 떠난다”며 “비록 당을 떠나지만 자유와 주권 수호를 위해 백의종군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지금 대한민국은 자유민주주의 체제가 존속될 것이냐, 붕괴되느냐의 절체절명 갈림길에 있다”며 김문수 후보에 대한 지지를 거듭 호소했다.

이번 탈당은 김문수 후보의 지지율이 정체 상태에 머무르고 있는 가운데, 당의 중도 확장 전략과 보수 결집이라는 두 과제를 동시에 고려한 결정으로 보인다. 실제로 한국갤럽이 지난 13~15일 실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이재명 후보는 51%, 김문수 후보는 29%의 지지율을 기록해 격차는 더 벌어졌다. 보수의 심장이라 할 수 있는 대구·경북에서도 김 후보는 48%에 그쳐 위기감이 고조됐다.

58a77125-8201-4c7c-9ce3-741c2ff35ad7.png

윤 전 대통령은 입장문에서 사과나 유감은 언급하지 않았다. 이에 대해 정치권에서는 “참회의 기회가 아닌 선거 전략으로 읽힌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한 여당 인사는 “탈당은 했지만 국민이 요구한 진정한 결별이나 책임 표명은 없었다”며 “이는 오히려 당에 부담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날 김문수 후보는 기자들과 만나 “대통령의 뜻을 존중한다”며 “우리는 이제 더 단합하고 혁신해 국민의 뜻에 맞는 당이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김상욱 무소속 의원은 윤 전 대통령의 탈당에 대해 강도 높은 비판을 내놨다. 그는 이날 광주 국립 5·18민주묘지를 찾아 “국민의힘은 탈당을 촉구한 게 아니라 제명했어야 했다”고 말했다. 이어 “탈당이라는 명예로운 출구를 열어준 것은 오히려 당을 병들게 하는 일”이라며 “진정한 반성과 사과가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공무원도 파면과 자진퇴직은 다르지 않느냐”며 국민의힘의 결정을 비판했다.

윤 전 대통령의 탈당을 두고 당내에서도 평가가 엇갈린다. 일부 친윤계는 이를 “공동체를 위한 결단”으로 보았으나, 다른 인사들은 “탈당만으로는 결집이 어렵다”며 냉소적인 반응을 보였다. 특히 일각에서는 “출당과 달리 탈당은 복당이 쉽다”며 정치적 복귀 여지를 남겨둔 선택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탈당이 실제로 보수 결집을 이끌지, 혹은 중도층의 반감을 키울지는 향후 김문수 후보의 지지율 추이와 선거 결과가 가늠할 것이다.

전체댓글 0

  • 18536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윤석열 탈당…보수 결집 외치며 떠났지만 중도 민심은 '냉담'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