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지지율 51%, 대세론 굳히나…윤석열 탈당 후 흔들리는 보수
김문수 30% 박스권, 보수 무너진 텃밭…한동훈·이준석 변수될까
[서울=2025.05.17.] 대선 D-17, 이재명 과반 지지율 돌파…윤석열 탈당에 흔들리는 보수, 변수는 한동훈과 이준석
6·3 대선을 불과 17일 앞두고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가 지지율 51%를 돌파하며 대세론을 굳히고 있는 가운데, 국민의힘은 윤석열 전 대통령의 탈당과 선대위 혼선으로 지지 기반이 흔들리고 있다. 여기에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의 '현장 복귀' 선언과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의 단일화 가능성이 미묘한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한국갤럽이 5월 13~15일 전국 유권자 1,00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이재명 후보는 지지율 51%를 기록하며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29%)와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8%)를 크게 앞섰다. 이는 1987년 민주화 이후 선거 직전 지지율로는 역대 최고치다.

보수진영은 내부 분열과 리더십 부재로 위기를 맞고 있다. 가장 큰 변수는 윤석열 전 대통령의 탈당 선언이다. 윤 전 대통령은 내란 혐의로 재판을 받는 가운데 자진 탈당했지만, 김문수 후보는 이에 대해 "대통령 스스로의 결정"이라며 유보적 태도를 보여 지지층 내 혼란을 야기했다.
특히 강성 보수층은 김 후보가 윤 전 대통령과의 선 긋기를 명확히 하지 않는 것에 실망을 표하고 있으며, 중도 보수층 역시 확장성 부족에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실제로 한국갤럽 조사에서 보수 성향 유권자의 58%만이 김 후보를 지지한다고 응답했으며, 이는 보수층 내부 결집이 미흡하다는 것을 방증한다.
한동훈 전 대표는 이러한 혼란 속에서 “윤 전 대통령 부부와의 절연, 계엄 반대, 극단세력과의 선 긋기”라는 세 가지 조건을 제시하며 김문수 후보의 결단을 촉구했다. 그는 “이 조건들이 수용되지 않더라도 당을 위해 현장에 나설 것”이라고 밝혀, 유세 참여 가능성을 시사했다. 일각에서는 한 전 대표의 등판이 김 후보 캠프의 반전 계기가 될 수 있다는 기대도 나온다.
반면, 이준석 후보는 젊은층과 중도 유권자 일부의 지지를 받으며 8%의 지지율을 기록하고 있으나, 본격적인 확산세로는 이어지지 못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보수 내 일부에서는 ‘김문수-이준석 단일화’ 가능성을 마지막 승부수로 보고 있다. 그러나 이재명 후보의 과반 지지율이 유지될 경우, 단일화가 가지는 정치적 파괴력도 제한적일 수 있다.
지역별로는 이재명 후보가 대구·경북(TK) 지역에서도 34%의 지지율을 기록하며 주목을 받고 있다. 전통적 보수 강세 지역인 TK에서 김문수 후보는 48%를 얻는 데 그쳐, 윤석열 전 대통령이 지난 대선에서 기록한 73.9%와는 큰 격차를 보였다. 부산·울산·경남(PK)에서는 이 후보가 41%로 김 후보(39%)를 오차범위 내에서 앞섰다.
이재명 후보 측은 “지지율이 높다고 방심할 수 없다”며 겸손한 행보를 강조하고 있다. 이 후보는 “선거는 고개를 쳐들면 진다”며 각 캠프에 ‘절박함’을 주문했다. 민주당은 영남권 공략과 중도층 확장을 계속 이어가며 득표율 극대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한편, 국민의힘은 김문수 후보 단독으로는 반전이 어려운 만큼, 이준석과의 연대와 한동훈의 본격적인 가세를 통한 지지층 재결집을 모색하고 있다. 하지만 보수진영의 내홍이 깊어진 상황에서 이 같은 전략이 실현 가능할지는 미지수다.
남은 변수는 단일화 성사 여부와 첫 TV토론(5월 18일)이다. 특히 이준석 후보는 경제 공약을 중심으로 이재명 후보를 정면으로 겨냥하며 존재감을 키우겠다는 전략이다. 정치권에선 “이재명이 과반 지지율을 고수하는 한, 단일화 추진동력도 약화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이처럼 이번 대선은 단순한 인물 대결을 넘어, 정당 내부의 조직력, 위기 대응 능력, 그리고 정치적 상징성의 대결로 흘러가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