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도 추앙받는 쿠르드족의 영웅, 살라딘
쿠르드 민족 정체성을 대표하는 이름이자 세계사적 위인
살라딘의 이름을 전부 서술하면 알 말리크 안 나시르 아부 알 무자파르 살라딘 유수프 이븐 아이유브 이븐 샤디 이븐 마르완 알 아이유비(الملك الناصر ابو المظفر صلاح الدين يوسف ابن ايوب ابن شاﺬي ابن مروان الايوبي)로 이를 해석하자면 승리의 왕(Al Malik An Nasir), 승리의 아버지(Abu Al Muzafar), 신앙을 품은 정의(Slakh Ad Din), 아이유브 일가의 마르완(Marwan)의 아들인 샤디(Shadi)의 아들인 아이유브의 아들 유수프(يوسف)가 본명으로 나타난다. 당시 <꾸란>의 등장인물인 유수프(Yusuf, 요셉)와 아이유브(Ayyub, 욥)가 이름에 들어있다. 살라딘(صلاح الدين)이라고 표기하는데 앗(Ad)은 원래 정관사 알(Al)이고, 알을 구성하는 알레프(ا)와 람(ل) 중에서 람(Ram)은 뒤에 태양 문자라 불리는 특정 문자가 올 경우에 그 문자와 동일한 발음을 가지고 있다. 이는 딘의 ㄷ과 동일한 발음이 되고 있다. 그리고 알레프는 단어와 단어 사이에 들어갈 경우, 보통 묵음이 된다. 따라서 알이 ㅅ 받침과 같이 발음되기 때문에 살라흣 딘이라 읽히게 된다. 이를 빠르게 발음하면 우리가 아는 표기인 살라딘과 가까워진다. 참고로 영화인 <킹덤 오브 헤븐(Kingdom of Heaven)>에서 살라딘 역을 맡은 시리아 배우 가산 마수드(Gasan Masud)는 살라흣 딘에 가깝게 발음하고 있다.

살라딘은 1138년, 이라크 북부의 티크리트(Tikrit)에서 쿠르드족 군인 집안 출신인 나짐 앗 딘 아이유브(Nazim Ad Din Ayyub)의 아들로 태어났다. 나짐 앗 딘 아이유브는 그 당시, 셀주크투르크의 대신인 비흐루즈(Byhruz)와 인연이 이어져 그의 천거를 받아 티그리트 성의 영주로 재임 중이었다. 아이유브는 1132년, 바그다드의 칼리프에게 패배하고 도주하던 모술과 알레포의 영주 이마드 앗 딘 장기(Imad Ad Din Zangi)에게 나룻배를 제공하여 그가 무사히 티그리스 강을 건널 수 있도록 도와주었다. 이로써 아이유브와 그 가문은 장기 왕조와 깊은 인연을 맺게 되었으나, 아이유브의 후원자였던 비흐루즈는 평소에 장기를 좋아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의 탈출을 도와준 아이유브에게 앙심을 품었다. 그러한 와중에 아이유브의 동생인 시르쿠가 한 여인의 복수를 위해 건달을 살해하는 사고를 저질렀고, 비흐루즈는 이에 분노하여 아이유브의 일족을 티그리트에서 추방했다. 그러나 살라딘은 아버지와 가족들이 침통한 심정으로 이사를 준비하던 날 밤에 출생했다. 갈 곳을 잃은 아이유브와 시르쿠 형제는 모술로 이사하여 장기에게 의탁했다. 장기는 자신을 구해준 보답으로 1139년에 다마스쿠스의 부리 왕조를 공격하여 바알벡(Balbek)을 함락시킨 이후 아이유브를 그곳의 영주로 임명했다. 살라딘 또한 아버지를 따라 이곳에서 유년 시절을 보낸 것으로 추정되었지만 어린 시절의 살라딘의 행적에 대해서는 기록이 전해지지 않고 있다.
1146년, 장기가 암살당한 이후 그 세력이 분열되자 부리(Buri) 왕조의 아타베그(Atabeg)인 무장 앗 딘 우누르(Ad Din Unur)가 과거에 자신의 영토였던 바알벡을 수복하려 했다. 당시에 아이유브는 장기의 아들들로부터 지원을 받기 어려운 상황이었기에 다마스쿠스에 투항하기로 결정했다. 이때 살라딘은 아버지인 아이유브와 함께 포로가 되어 다마스쿠스로 끌려갔지만, 숙부인 시르쿠는 여전히 장기 왕조에 남아 있었기 때문에 그의 가문은 얼마 동안 흩어지게 되었다. 그나마 다행이라면 아이유브의 정치적 수완이 상당했기 때문에 다마스쿠스와의 협상 과정에서 적지 않은 봉토를 얻을 수 있었고, 이후 다마스쿠스 내부에서도 신임을 얻어 몇 년 만에 고위직을 지내게 되었다는 점에 있다. 1154년 4월, 아이유브의 옛 주인인 장기의 아들 누르 앗 딘(Nur Ad Din)이 다마스쿠스를 향해 진격해왔다. 이 때에 다마스쿠스는 강력한 지도자였던 우누르(Unur)가 사망한 이후, 왕권을 상실한 상태였는데, 아이유브는 그 틈을 이용하여 누르 앗 딘의 휘하에 있던 동생 시르쿠에게 연락하여 그에게 항복할 뜻을 밝혔다. 이로 인해 누르 앗 딘은 정복자로 명성을 누렸던 아버지 장기도 장악하지 못했던 다마스쿠스에 무혈입성 할 수 있었으며, 그러한 보답으로 아이유브는 다마스쿠스의 아타베그에 임명되었다.
이 시기까지 살라딘은 아버지와 함께 다마스쿠스에서 청년기를 보내고 있었던 것으로 보이지만, 아직 두각을 드러내지 못했기 때문에 기록에서는 당시 그의 행적을 찾아보기 어렵다. 다만 살라딘이 자신의 청년기를 회고하면서 전쟁을 피해 은둔을 즐기고 현자들과의 토론에 심취했다고 말한 것을 보면, 젊은 시절의 그는 학문에 전념하며 비교적 여유로운 삶을 살았던 것으로 보인다. 이는 영악한 수완가였던 아버지 아이유브와 과격한 용사였던 숙부 시르쿠와는 상당히 다른 점으로, 이 때까지만 하더라도 그가 후일 중동 최대의 무슬림 군주가 될 것이라 예상한 이는 아무도 없었을 것으로 보인다. 살라딘이 처음으로 두각을 드러낸 계기는 세 차례에 걸친 이집트 원정 시기였다. 1163년, 이집트 파티마 왕조의 와지르(Wajir, 재상)였던 샤와르(Shawar)가 경쟁자인 디르감(Dirgam)에게 축출당한 이후 누르 앗 딘에게 망명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샤와르는 누르 앗 딘에게 자신의 와지르 지위를 회복시켜 준다면 막대한 세액을 바칠 것을 약속했다. 마침 예루살렘 왕국의 아모리 1세(Amori I) 또한 이집트를 노리고 있었고, 용맹하고 과감한 성품의 심복이었던 시르쿠 또한 일전을 주장하자 누르 앗 딘은 이집트 원정을 결심했다.
1164년 4월, 누르 앗 딘과 시르쿠는 각기 군사를 거느리고 팔레스타인과 이집트를 향해 진격했다. 당시 시르쿠는 자신의 조카인 살라딘을 부관으로 삼아 자신과 함께 종군하도록 하였는데, 이 때부터 살라딘이 본격적으로 역사의 전면에 등장하기 시작했다. 누르 앗 딘이 팔레스타인 북부로 진군하여 아모리 1세의 관심을 돌리는 사이, 시르쿠와 살라딘은 같은 해 5월에 이집트의 카이로로 진격하여 디르감을 제거하고 샤와르를 복직시켰다. 그러나 샤와르는 약속을 지키지 않았으며 그 해 7월에 아모리 1세와 연합하여 빌베이스(Bilbeis)에서 시르쿠를 3개월 동안 포위했다. 그러자 누르 앗 딘이 스스로 십자군의 후방인 하림(Harim) 요새를 공격하여 함락시켰다. 이에 위협을 느낀 아모리 1세가 같은 해, 10월에 시르쿠와 휴전을 맺고 철군하면서 시르쿠와 살라딘은 살아남을 수 있었다. 1167년 초, 시르쿠와 살라딘은 샤와르와 아모리 1세의 밀착을 차단시키기 위해 두 번째 이집트 원정을 시작했다. 그 해 3월 18일, 알 바베인(Al-baboim) 전투에서 시르쿠와 아모리 1세의 군대가 전투를 벌였다. 당시 살라딘은 숙부인 시르쿠의 명령에 의해 직접 중앙의 군사를 거느리고 궁지에 빠진 척 달아나며 십자군을 유인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다행히 작전이 성공적으로 진행되자 시르쿠는 우익의 정예 기병들을 거느리고 아모리 1세와 샤와르의 연합군을 포위하여 이를 격퇴하는데 성공했다.
그러나 시르쿠의 피해도 적지 않았기 때문에 직행으로 카이로에 진격하는 것을 포기하고 위험부담이 적은 북쪽으로 이동하여 알렉산드리아에 입성했다. 시르쿠는 살라딘에게 군대의 절반을 나누어주고 알렉산드리아의 총독으로 임명한 후 자신은 직접 남쪽으로 세금을 징수하러 떠났다. 그 사이에 살라딘은 아모리와 샤와르의 연합군에게 75일 간이나 포위 공격을 당했으나 이를 수성하는데 성공했다. 이는 살라딘이 단독 지휘관으로서 거둔 최초의 성과였다. 그 와중에 시르쿠가 조카를 구원하기 위해 카이로를 향해 진격하자 아모리 1세는 그해 8월 4일에 휴전을 맺었다. 그에 따라 아모리 1세는 이집트의 땅을 포기했고, 살라딘 또한 알렉산드리아를 샤와르에게 돌려주었으며 포로 교환도 이루어졌다. 협상 당시에 살라딘은 얼마 전만 해도 전투를 직업으로 삼고 있었던 아모리 1세의 진영에 인질로 들어가 며칠 간 환대를 받는 진귀한 경험을 하기도 했다. 1168년 12월, 시르쿠와 살라딘은 아모리 1세가 파티마 왕조를 침공했다는 소식이 들려오자 이를 저지하기 위해 세 번째 이집트 원정을 시작했다. 살라딘은 알렉산드리아에서 포위당했을 당시에 겪은 고초를 잊지 못하고 있었기 때문에 처음에는 함께 이집트로 가자는 시르쿠의 요청을 거절했으나, 시르쿠는 누르 앗 딘에게 조카도 함께 종군해야 한다고 강력히 주장했다.
결국 누르 앗 딘의 명령으로 인해 살라딘은 숙부를 범칭국으로 삼았고 다시 이집트 원정길에 올라야 했다. 당시 카이로를 포위하고 샤와르로부터 금을 약탈하기 위해 기다리던 아모리 1세는 시르쿠에게 밀려나 팔레스타인으로 퇴각해야 했다. 이 전투에서의 승리로써 이집트를 장악하게 된 시르쿠는 파티마 칼르프의 허가를 받아 그 동안 자신을 수차례 농락했던 샤와르를 살해하고 그 자신이 이집트의 와지르가 되었다. 이와 같이 시르쿠는 이집트의 정복자가 되어 최고의 권력자가 되는지 싶었으나 그 해 3월에 폭식을 하던 중 식중독으로 급사하는 최후를 맞이했다. 그로 인해 권력의 공백이 생기자 이집트의 대신들에 의해 살라딘이 이집트의 새로운 와지르로 추대되었다. 이집트 대신들이 살라딘을 지지한 것은 그가 순전히 삼촌의 권력으로 성공한 우유부단한 젊은이라고 판단해서였지만, 그들의 기대와 달리 살라딘은 대단히 민첩한 대응으로 순식간에 이집트 전역을 자신의 영토로 만들었다.
이후 살라딘은 겉으로 누르 앗 딘에게 복종하면서도 군대를 보내 수단과 요르단, 예멘 일대까지 자신의 영향력을 확대했다. 이후 살라딘의 세력이 지나치게 강력해지자 이를 경계한 누르 앗 딘은 직접 군대를 이끌고 이집트를 침공하려고 했지만 60세가 넘은 고령이었기 때문에 노환으로 사망했고, 그의 사망으로 혼란해진 틈을 이용히여 오히려 살라딘은 누르 앗 딘의 아들의 보호자로 자청하고 누르 앗 딘의 미망인과 결혼하여 조금씩 지지기반을 다지다가 누르 앗 딘의 영토를 완전히 접수해 버렸다. 그러는 한편으로 서쪽의 북아프리카에도 군대를 보내 그의 시대에 아이유브 왕조는 동쪽으로는 시리아와 이라크 북부, 서쪽으로는 튀니지 일부까지 세력을 확장하는데 성공했다. 예루살렘 왕국은 살라딘이 이집트를 장악했을 때부터 살라딘을 경계하여 비잔틴 제국과 연합해 이집트로 해군을 통해 원정대를 보냈지만 계속 실패한 끝에 폭풍우로 인해 모두 침몰당했다. 누르 앗 딘의 죽음 이후 시리아로 살라딘이 세력을 넓히자 십자군 계열 국가에서 기사를 파견해 이를 견제하려다 살라딘이 생각보다 많은 군대를 가지고 온 것을 보고 도주했다. 한편 자지라 원정 중, 살라딘은 십자군이 다마스쿠스 일대를 침공했다는 소식을 듣게 된다.
이에 그는 그들이 마을들을 점령하는 동안 우리는 도시들을 취할 것이고, 우리가 돌아갈 때면 그들과 대적할 정도로 더욱 큰 힘을 얻은 상황에 놓일 것이라 예측했다. 그리고 3일 동안 알레포를 포위하며 무력시위를 벌인 살라딘은 1182년 11월 10일에 더욱 북상하여 장기 왕조의 수도인 모술을 포위하였다. 살라딘은 킨다(Khinda) 문, 동생 타즈 알 물크 (Taz Al Mulk, 왕들의 왕관) 이마디야(Imadya) 문을 맡았다. 봉신인 히신 카이파(Hisin Kayfa)의 누르 앗 딘의 “다리들의 문”을 맡게 된다. 하지만 한 달 간의 포위에도 별 성과가 나지 않자 살라딘은 포위를 풀고 남쪽으로 3일간 행군, 모술의 보급로 차단을 위해 신자르(Shinzar)를 포위하였다. 이후 살라딘은 누르 앗 딘 세력의 잔당들을 처리하고 세력을 확장하여 북아프리카, 이집트, 아라비아, 예멘, 시리아, 이라크 북부에 이르는 거대한 영토를 가진 제국을 만들었다. 그 역시 누르 앗 딘의 정책을 이어받아 지하드의 기치를 계속 내걸고 이를 주장했지마, 이집트에서 거병한 1174년부터 이라크 북부의 모술을 점령하는 1186년까지는 십자군과는 휴전 상태를 계속 유지하면서 다른 이슬람 반발 세력들을 흡수, 통합하는 시기로 삼았다.
하지만 르노 드 샤티용(Renaud de Chatillon, 1125~1187)의 무력 도발로 인해 휴전은 취소되었고, 하틴 전투에서 예루살렘 왕국 왕 기 드 뤼지냥(Guy de Lusignan) 휘하의 십자군 주력을 궤멸시키고 예루살렘을 함락시킴으로써 예루살렘 왕국을 멸망시켰다. 그 여파로 인해 제3차 십자군 전쟁이 일어났고, 제3차 십자군에 불행히도 사자심왕(Lion Hearted) 리처드 1세가 있었기 때문에 전투에서는 그다지 재미를 못 봤다. 하지만 십자군은 하나로 단결하지 못했고 전략적인 안목 또한 결여되어 있었기 때문에 전투에서의 승리에 비해 많은 성과를 거두지는 못했다. 제3차 십자군은 해안 여러 도시들을 다시 점령했지만 안정적으로 확보했다고는 말하기 어려운 상태였으며, 예루살렘 진격을 시도했을 때도 보급로 확보 문제와 내부 불화로 인해 예루살렘 근처에도 가지 못하고 중간에 포기해야 했다. 제3차 십자군이 야파에서 살라딘의 공격을 물리친 직후, 프랑스의 존엄왕 필리프 2세(Philippe II, 1165~1223)가 리처드의 동생 존과 결합하여 리처드의 프랑스 내 영토를 공격해 리처드 1세 또한 프랑스로 돌아가야 하는 상황이라 더 이상의 원정이 불가능하게 되었다. 그래서 리처드는 살라딘에게 부활절까지 돌아올 것이니 그 때 결판을 내자고 약속하였으며 살라딘도 이에 응했다.
그러나 아쉽게도 살라딘은 약속 일인 부활절 3주 전에 다마스쿠스에서 병사했고, 리처드도 프랑스와의 전쟁 중에 유시(流矢)에 맞아 죽었다. 이 때 두 군주 간의 관계는 매우 신사적인 편이었다. 물론 약간의 경쟁심도 있었겠지만 리처드가 병에 걸렸을 때 살라딘은 자신의 의사에게 치료 받을 것을 권유했으며, 약으로 사용하라고 시원하게 눈 속에 덮어 놓은 과일을 리처드에게 보냈다. 리처드가 말을 잃었을 때 살라딘은 대신 타라고 말 두 마리를 보냈다. 리처드 또한 살라딘을 고평가하면서 살라딘을 예우했으며, 사절단으로 찾아온 살라딘의 일족 사람들에게도 정중하게 대했고 살라딘의 조카였던 알 카밀(Al Kamil)에게 기사 작위를 선물로 주기도 했다. 리처드는 살라딘에게 자신의 누나 조안을 살라딘의 형제에게 결혼시킴으로서 이슬람과 카톨릭을 화해시키고 예루살렘은 결혼 선물로 하자고 제안했다. 양측의 성지였던 예루살렘을 양측의 공동 영지로 지정해 서로가 전쟁을 벌이지 말고 잘 살자는 의미였고, 살라딘은 이를 실제로 고려하였는데 이에 어떻게 결사반대한 참모들로 인해 성사되지는 못하였다. 처음부터 살라딘은 성도 탈환이라는 기치 하에 일어난 지하드로 인해 세력을 확장했기 때문에 자칫 반란으로 이어질 수도 있는 상황이었다.
이는 기독교 세력에게도 마찬가지로 반대가 매우 컸고, 이슬람도 기독교도 혼인 성사 문제 때문에 한쪽의 개종 문제가 생겨서 결국 취소되었다. 그 이후 리처드는 예루살렘의 지정학적 문제 때문에 가급적 협상을 통해 예루살렘을 장악하려고 했다. 한편, 살라딘과 리처드는 실제로 얼굴을 마주하고 만난 적은 없었으며 사신이나 편지로 교류했다. 둘은 서로를 상대방 진영에서 가장 훌륭한 인물이라 칭찬했다. 리처드가 돌아올 때, 예루살렘을 탈환하겠다고 하자 살라딘은 함락당할 것이라면 당신 같은 훌륭한 사람에게 내주는 것이 낫다고 대답했을 정도였다. 이 때의 휴전 조건이 예루살렘 순례자를 박해하지 않는다는 것이었는데, 이는 카톨릭 측에서도 십자군 전쟁의 명분을 살렸다고 할 수 있고, 이슬람 측에서는 살라딘의 치세 이후로 순례자를 박해한 적이 없기 때문에 문제 될 것이 없는, 그런 대로 원만하면서도 큰 내용 없는 타협이었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