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5-07-14(월)
  • 로그인
  • 회원가입
  • 지면보기
  • 전체기사보기
 

자이드파는 통칭 자이디야 혹은 5이맘파로도 불린다. 제5대 이맘으로 주류 시아파가 섬기는 무함마드 알 바키르(Muhammad Al Baqir)가 아닌 그의 동생 자이드 알 샤히드(Zaid Al Shahid)를 추종하는 분파다. 본래 여러 반란과 이란 카스피 해 남안에 위치한 타바리스탄 지역에서의 알라비 왕조 수립 등 수니파 중앙 정부와 극심하게 대립했으나 결국 모두 진압되고 대부분 은둔하여 이슬람 세계의 서쪽 끝인 북아프리카 마그레브에 이드리스 왕조, 아라비아 반도 남쪽 끝의 예멘에 이맘 왕국인 라시드 왕조를 세워 세력을 유지하게 된다.


화면 캡처 2025-05-23 042451.png
사진 : 예멘 후티의 근본 종파 자이드파 무슬림들, 출처 : Алексей Зён의 페이스북

 

특히 라시드 왕조는 1962년 공화정 수립 이전까지 세력을 유지했으며 현재도 예멘의 무슬림 중 절반이 자이드파로 알려져 있다. 이들은 초창기 정통 칼리파인 아부 바크르와 우마르를 부정하는 다른 시아파와 달리 자이드파는 그들의 이맘 직위를 인정하여 대다수 수니파들과 어느 정도 타협의 여지를 남기긴 했다. 그러나 알리 이븐 아비 탈립(Ali Iben Avi Thalib)의 정통성 우위는 여전히 주장하며 우마이야 칼리프 왕조부터의 칼리프들을 단죄하고 비합법적인 칼리프와의 전쟁을 신자로써 당연한 도리로 여기고 있다.


이들은 예멘의 북부 지역과 그와 접경한 사우디아라비아 서남부 지방인 아시르(Asir) 일대에 주로 분포하고 있다. 흔히 이들을 시아 신앙의 한 분파로 다른 이름으로는 ‘5 이맘파’라고 하며 예멘에서 찾아볼 수 있다. 시아파의 제4대 이맘인 알리 자인 알 아비딘(‘Alī Zayn al-‘Ābidin)이 713년에 사망하자마자 자이드파는 그의 장남인 무함마드 알 바키르(Muḥammad al-Baqir)보다 오히려 작은 아들 자이드(Zaid)를 이맘으로 선택하고 다른 시아파, 즉 절대 다수인 열두 이맘파에게서 분파되어 나왔다. 그들은 우마이야 왕조에 보다 격렬하게 저항하기 위해 자이드에 집결했다. 


역대 이슬람 역사에서 주류 파벌에 대해 가장 저항적으로 나왔던 자이드파는  오늘날에는 모든 시아파 중에서 가장 온건하며 수니파에 가장 가까운 상태이다. 물론, 그들 역시 나름의 법학파(Madhhab)들을 갖고 있다. 그들의 시아 신앙은 알리(Ali)와 그의 후손의 권위와 통치를 정치적으로 더 선호하는 것에서 나왔다. 또한 열두 이맘 시아파 가운데 발견되는 초자연적 힘에 대한 찬미, 천국에 대한 지식 및 알라 하나님과 인간 사이의 중개 기능은 거의 없거나 전무하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다른 시아파의 특징과 유사점이 많아 예멘은 역사적으로 시아파 망명자들, 특히 이스마일파의 소수 분파 집단의 피난처 역할을 하기도 했다. 


이는 후티가 통치하는 현재도 그러하다. 자이드파가 피지배계층으로 가장 많은 국가는 카스피 해 연안의 다일람(Daylamites) 인들 사이에서 864년부터 1126년까지 많은 침략을 받으며 존속했던 알라비 왕조이다. 10세기 초, 자이드파는 먼저 예멘의 사아다(Sa‘ādah)에 정착했으며 이후에는 사나(Sanā‘a)에 정착했다. 오늘날 자이드파는 예멘 아랍 공화국 인구의 약 40%를 차지하는 종파로 예멘에서만큼은 주류 종파이다. 나머지 예멘인은 수니파의 샤피이(Shafi‘ī) 법학파라 할 수 있다. 자이드파의 이맘 논리에 의하면 알리의 후손은 누구나 이맘이 될 수 있다. 


물론 1명 이상일 수도 있고, 전혀 없을 수도 있다. 권력을 장악함으로 인헤 입증된 통치력이 이러한 주장을 강력한 배경으로 하며 이슬람 신학자들이 이를 확인해 주고 있다. 그러나 자이드파의 이맘은 열두 이맘파의 이맘에게 부여된 특권, 신비적인 힘과 초자연적 지식을 보유하고 있지 않은 상태이다. 자이드파는 아부 바크르(Abū Bakr)와 우마르(‘Umar)의 칼리프 제위를 인정했지만 우스만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다. 일부에서는 그의 칼리프위의 5년 동안만 합법적인 것으로 받아들인다. 열두 이맘 시아파처럼 자이드파는 무타(Mut‘ah, ‘일시결혼’)를 인정하지 않았다. 그들은 역사적으로 무타질리파(Mutazilite), 이성주의자들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았다. 


예멘의 자이드파 왕국인 라시드 왕국은 야흐야 이븐 후세인 알 라시(Yaḥyā ibn Ḥusayn al-Rassī)에 의해 건국되었다. 이 왕조는 사나(Sanā‘a) 지역에서 많은 전쟁과 흥망성쇠들을 겪으며 간혹 중단되기도 했으나 10세기부터 1962년까지 통치했다. 그 해에 육군대령 압드 알라 알 살랄(‘Abd Allāh al-Sallāl)에 의해 이 이맘 국가체제는 전복되었다. 공화주의자와 왕정주의자 사이의 예멘 내전은 1972년까지 계속되었으나 이맘(Imam)은 그 이전에 영국으로 망명하였고, 그 곳에서 사망하면서 이맘이 없는 채로 오늘에 이르고 있다.


전체댓글 0

  • 00086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후티의 근본 이념이자 예멘의 이슬람 정파 자이드파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