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5-07-09(수)
  • 로그인
  • 회원가입
  • 지면보기
  • 전체기사보기
 

[서울=2025.05.26.] 경찰이 지난해 12월 3일 비상계엄 선포와 관련된 국무회의 참석자 세 명을 동시에 소환 조사했다. 한덕수 전 국무총리, 최상목 전 부총리,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이 그 대상이다. 경찰은 이들이 남긴 진술이 당시 대통령실 CCTV 영상과 다른 점에 주목해 재조사에 나섰다.

33 7e6fbda6-2db4-46ab-9234-ce73a4f9beaf.png

조사는 이날 오전 10시부터 서울 서대문구 경찰청 국가수사본부에서 시작됐다. 한 전 총리와 이 전 장관은 오전에, 최 전 부총리는 낮 12시에 각각 내란 혐의 피의자 신분으로 조사받았다. 이들은 모두 비상계엄이 선포된 날 대통령실 대접견실에서 열린 비공식 국무회의에 참석했던 인물들이다.

경찰은 대통령경호처로부터 확보한 CCTV 영상을 분석한 결과, 이들의 동선과 행동이 과거 국회나 수사기관 진술과 일치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특히 세 인물은 당시 윤석열 전 대통령으로부터 계엄 관련 문건을 직접 전달받았다는 의혹도 받고 있다. 최 전 부총리는 ‘비상 입법 기구’ 설치 내용을 담은 쪽지를 받았다는 진술을 했고, 이 전 장관은 언론사 단전·단수 지시가 담긴 문건을 목격했다고 주장한 바 있다.

이날 조사에서 경찰은 이 같은 진술과 영상 속 실제 정황의 불일치를 집중 추궁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12월 6일 대통령경호처가 윤 전 대통령과 홍장원 전 국정원 1차장, 김봉식 전 서울경찰청장의 비화폰 정보를 원격 삭제한 사실도 포착됐다. 이들 간 통신 기록은 계엄 관련 모의와 실행을 입증할 핵심 단서로 여겨져, 증거인멸 혐의에 대한 수사도 병행되고 있다.

앞서 윤 전 대통령은 계엄 선포의 주요 책임자로 지목돼 내란 및 직권남용 혐의로 기소된 상태이며, 이날 서울중앙지법에서 관련 5차 공판도 진행되었다.

경찰은 향후 국무회의 참석자 11명 전체를 대상으로 추가 조사를 예고하며, 사실 규명을 위한 수사를 계속 확대할 방침이다.

전체댓글 0

  • 54184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한덕수·최상목·이상민, 계엄 진술 번복 의혹…경찰 전격 동시 소환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