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5-07-09(수)
  • 로그인
  • 회원가입
  • 지면보기
  • 전체기사보기
 

[서울=2025.07.03.] 대한민국을 뒤흔들 충격적인 소식이 전해졌다. 2024년 10월 북한 평양에 침투했던 한국군 무인기 작전이 당시 윤석열 전 대통령의 직접 지시에 따른 것이라는 현역 장교의 폭로가 나오면서 정치권과 군 내부에서 엄청난 파장이 일고 있다.이른바 **'평양 무인기 침투 사건'**과 관련해 조은석 특별검사팀은 윤 전 대통령이 북한의 무력 반응을 유도하여 비상계엄을 선포하려 했다는 의혹에 대한 수사를 강화하고 있다.

2 Gemini_Generated_Image_2zp02m2zp02m2zp0.png

 

윤 전 대통령 지시 의혹, 녹취록으로 드러나

 

경향신문과 한겨레는 특검이 확보한 녹취록 내용을 공개하며 윤 전 대통령의 깊은 개입 정황을 강조했다. 해당 녹취록에는 "VIP 지시다", "북한의 반응에 VIP가 박수치며 좋아했다", "사령관이 또 하라고 했다", "11월에도 무인기를 보냈다" 등의 구체적인 발언이 담겨 있어 충격을 더하고 있다. 이는 단순한 군사 작전을 넘어 전직 대통령의 정치적 의도가 개입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사라진 무인기, 북한 주장과 일치하나?

 

중앙일보의 보도에 따르면, 사건 당시 드론작전사령부가 무인기 두 대를 분실했으며, 이 시점이 북한이 무인기 침투를 주장한 시기와 정확히 일치한다는 감사 보고서가 나왔다. 특히 백령도와 속초 부대에서 사라진 무인기 중 일부가 북한에서 추락했다고 알려진 기종과 유사하다는 지적도 제기되어 무인기 소실과 실제 작전 실행 간의 연관성에 대한 의혹이 증폭되고 있다.

 

'위험천만한 불장난' vs. '군사기밀 노출 우려'

 

동아일보는 사설을 통해 이번 사건을 "정치적 목적을 위한 위험천만한 불장난"으로 강하게 비판하며, 만약 대통령이 군 통수권을 남용하여 국민을 속인 사실이 드러날 경우 이는 중대한 외환죄에 해당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반면 조선일보는 군 일각에서 해당 작전이 정상적인 군사적 대응이었다는 입장도 존재한다고 전하면서도, 특검 수사로 인해 군사기밀이 외부로 노출될 경우 안보에 악영향이 우려된다는 군 관계자의 목소리도 함께 보도했다.

 

특검, 윤 전 대통령 2차 소환…외환 및 내란 혐의 수사

 

조은석 특별검사팀은 이번 사안을 외환 및 내란 혐의로 규정하고 있으며, 오는 7월 5일 윤석열 전 대통령을 두 번째로 소환하여 강도 높은 조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드론작전사령관 김용대, 국방과학연구소 관계자 등 관련자들도 줄줄이 특검에 소환될 예정이며, 작전과 관련된 자료를 고의로 폐기했다는 정황 또한 집중 조명되고 있다.

 

이번 '평양 무인기 침투 사건'은 단순한 군사작전 논란을 넘어, 전직 대통령이 자신의 정치적 목적을 위해 북한과의 무력 충돌을 유도하려 했다는 초유의 정치·군사 스캔들로 비화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앞으로 특검 수사 결과에 따라 대한민국 정국에 거대한 파장이 일 것으로 예상된다.

전체댓글 0

  • 65552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평양 무인기, 대통령 지시였다…‘북풍 작전’ 수사 급물살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