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5-07-09(수)
  • 로그인
  • 회원가입
  • 지면보기
  • 전체기사보기
 

콘스탄틴 로코소브스키(Константин Рокоссовский)는 폴란드계 러시아 귀족 계급의 아버지 크사베리 보이치에흐 로코소프스키(Ksawery Wojciech Rokossowski)와 러시아인 어머니 안토니나 옵샨니코바(Антонина Овсянникова)의 사이에 1896년 바르샤바에서 태어났다. 그러나 그의 부친인 크사베리는 러일전쟁 때 장교로 복무하면서 발틱함대를 탑승했다가 현해탄에서 일본군의 공격을 침몰하였지만 구사일생으로 살아남았지만 가문은 몰락하여 철도 노동자로 취업해 프스코프 주(州)의 벨리키예루키(Великие Луки)로 이주했다. 부친인 크사베리는 철도 노동자로써 삶이 순탄치 않았고 1907년에 갑작스러운 병으로 사망했다. 그의 어머니인 옵샨니코바 역시 1911년에 세상을 떠나 로코소브스키는 15세라는 어린 나이부터 여동생과 함께 폴란드 방산 공장에서 노동을 해 생계를 유지해야 했다. 이후 채석장과 직물 공장 등을 전전하여 힘들게 일하던 로코소브스키는 16세에 이르어 폴란드 반(反) 정부 노동자 시위에 휘말려 러시아 로마노프 제국에 의해 투옥 생활도 경험하게 된다.


1024px-Konstanty_Rokossowski_w_polskim_mundurze.jpg
사진 : Рокоссовский со всеми наградами в форме маршала Польши, 출처 : Википедия, Константин Рокоссовский

 

이후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로코소브스키는 러시아군에 입대하여 동부전선으로 나아가게 된다. 그는 부사관으로 훈련받은 후 제5기병연대에 입대하여 뛰어난 용맹성을 발휘했다. 이와 같은 용맹성을 인정받아 그는 4개의 게오르기 십자 훈장을 획득했다. 여기까지는 그의 라이벌이자 친구이기도 한 게오르기 주코프(Георгий Жуков)의 경력와 비슷하게 흘러간다. 1917년에 러시아 혁명이 발발하자 로코소브스키는 소련 공산당과 신생 소련군에 입대하였고 폴란드인 출신 지원병들을 모집하여 소련군에 입대시켰으며, 적백내전이 발발하자 제30기병사단 소속 연대를 이끌고 백군과 전투를 벌였다. 백군을 우크라이나 일대에서 제압하는데 대활약을 한 로코소브스키는 프룬제 군사대학에 입학해 엘리트 장교가 되는 교육을 받았지만 소련군 내에서 암암리에 벌어진 폴란드 출신에 대한 차별로 인해서 승진이 어려운데다 몰락한 로마노프 제국 시절 귀족집안, 부르주아로 찍혀 장교들 사이에서도 집단 따돌림을 당해야 했다.


그런데 1919년에 소련-폴란드 전쟁이 터지자 제27기병 연대장인 로코소브스키는 자신의 연대를 이끌고 참전하여 동족인 폴란드 인과의 전쟁에 적극적으로 나서게 된다. 이 전쟁에서의 활약으로 로코소브스키의 충성심이 인정되어 그는 군부 내에서 입지를 강하게 만들 수 있었다. 1937년에 스탈린은 군부 내에도 대숙청을 감행했고 로코소브스키는 스탈린의 숙청의 대상자가 되고 말았다. 그는 폴란드계 소련인이라는 의심을 받고 있었으며 그의 공무와 처사에 매번 간섭하는 정치 장교들과 자주 갈등을 일으켜 당성에 의심을 받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핀란드와의 겨울전쟁에서 대숙청으로 인해 유능한 장교들이 부족하여 소련군의 패착이 드러나게 되었다. 그러자 1940년에 총참모장으로 임명된 게오르기 주코프는 스탈린에게 숙청되어 수용소에 갇힌 지휘관들을 전선에 복귀시키자고 강력히 주장했고 스탈린은 마지못해 이를 승인했다. 시베리아에 유형되어 있던 로코소브스키는 자신이 왜 숙청되었는지를 포함해 일체의 해명없이 곧바로 석방되었다. 


로코소브스끼는 크림 반도에서 잠시 요양한 후 스탈린과의 면담한 뒤, 제9기계화 군단장으로 현역에 복귀하였다. 이후 대조국전쟁이 발발하자 스탈린그라드 전투에서 독일 제6군 사령관 프리드리히 파울루스의 항복을 직접 받아 명성을 떨쳤고 이후 중부전선군과 브랸스크 전선군을 통합한 벨라루스 전선군의 사령관에 취임해 바그라티온 작전의 최선봉에 서서 민스크를 포위해 9군을 섬멸했다. 그리고 독일 제4군과 제1기갑군을 궤멸시켜 우크라이나를 장악한 다음 폴란드의 바르샤바 근처 비스와 강까지 진격하는 바그라티온 작전을 성공으로 이끌기도 했다. 나치 독일이 패망하고 폴란드는 소련의 위성국인 폴란드 인민 공화국이 되었는데, 로코소브스키는 스탈린의 명령을 받아 신생 폴란드 정부의 국방장관이자 폴란드군 원수에 취임했고 뒤이어 내각 수반인 각료 의회 의장 자리까지 차지했다. 로코소브스키는 사실상 소련의 대리인이며 볼셰비키의 지령을 받는 폴란드의 감시자가 되었던 것이다. 그래도 나름 폴란드군을 제대로 정예화시키는데 기여했다. 로코소브스키 뿐만 아니라 소련군에 있던 여러 폴란드계 소련인들이 폴란드군에 돌아와 지휘관이나 부사관을 역임하면서 현재 폴란드군의 기반을 만들었다.


로코소브스키는 오랫동안 러시아에서 살았기 때문에 폴란드어가 무척 어눌했으며 기본적인 단어도 제대로 구사하지 못했다. 이에 폴란드 국민들은 소련-폴란드 전쟁과 바르샤바 봉기에서 로코소브스키가 한 기행과 악행으로 인해 로코소브스키를 소련의 하수인이자 러시아에서 온 이방인으로 생각하여 매우 싫어하고 불신했다. 이에 로코소브스키는 러시아에서 자신을 폴란드인이라고 했는데, 폴란드에서는 자신을 러시아인이라 한다며 나름 불편한 감정을 내비치기도 했다. 스탈린 사후 니키타 흐루시초프가 집권하자 민족주의적 성향이 강했던 폴란드를 비롯해 동유럽 국가들에서는 반소 자유화 운동이 발생하게 된다. 로코소브스키는 이를 잔인하게 탄압하는 것에 앞장섰고 비밀경찰, 고문과 강제 수용소를 동원해 소련에 반대하는 수많은 인사들을 체포했다. 이는 로코소브스키 자신이 소련에서 대숙청 당시 당했던 것과 같은 방법이었다. 


더불어 1956년 포즈난에서 일어난 대규모 시위에는 약 1만 명의 병력과 300대의 전차를 동원해 동족인 폴란드 군중들에게 발포까지 하며 시위대를 해산시켰고 그로 인해 74명의 사상자를 냈다. 로코소브스키의 이와 같은 잔혹한 방법은 큰 비난을 받았고 폴란드 내에서의 로코소브스키의 입지는 크게 좁아졌다. 같은 년도에 브와디스와프 고무우카가 집권하자 로코소브스키는 해임되어 소련으로 추방되었다. 로코소브스키는 흐루시초프에게 폴란드를 무력으로 침공하여 탄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흐루시초프는 로코소브스키의 주장을 받아주지 않았고 대신 폴란드의 지도자였던 고무우카와 협상을 개시했다. 흐루시초프는 고무우카와의 협상에서 로코소브스키를 다시 폴란드로 돌려보내지 않을 것을 약속했다. 반면 로코소브스키에게는 폴란드 귀화 이전의 소련 직위를 다시 내리며 달래기도 했다. 학자들은 로코소브스키가 대조국전쟁의 분수령에서 항상 선봉을 자처하여 승리를 이끌어 낸 전형적인 명장이자 소련 승리의 큰 공신으로 평가하고 있다. 


로코소브스키는 소련군 내에서도 대조국 전쟁에 활약한 일선 야전 사령관들 가운데 가장 뛰어난 지휘관 중 한 명으로 불린다. 군인으로서의 로코소브스키는 최고의 능력을 갖춘 인물로 그의 수하들은 그를 정직하며 겸손하다고 높이 평가했다. 로코소브스키의 제2 벨라루스 전선 군대는 동유럽 점령지에서 최대한 민폐를 끼치지 않으려 했다는 사실까지 그의 치적으로 평가받고 있다. 현재도 러시아에서는 로코소브스키를 영웅으로 숭배하며 모스크바에는 로코소브스키 거리가 있다. 반면 로코소브스키의 고향인 폴란드에서는 소련에 부역한 인물로 매국노 취급을 받고 있다. 폴란드의 역사에서는 로코소브스키의 개입 기간을 폴란드 인민공화국 역사상 최악의 흑역사로 여기고 있다. 사실 이는 스스로 폴란드인이라는 생각이 전혀 없던 로코소브스키를 폴란드계라는 이유로 폴란드에 주둔시킨 스탈린의 잘못된 인사행정으로 빚어진 일이다. 민주화가 된 지금도 마찬가지지만 1950년대 후반 브와디스와프 고무우카 등 민족주의적 공산주의자가 집권했을 때부터 이미 이 기간은 최악의 역사로 여겨졌다. 


소련의 눈치를 봐야 했던 공산주의 통치자들에게도 비난받을 정도로 로코소브스키는 폴란드에서 행동과 정책은 최악이었다. 그는 군인으로 훌륭했었던 인물이지만 행정은 최악인 인물이었던 것이다. 로코소브스키는 러시아계 폴란드인들에게는 입지전적의 인물로 좋은 평가를 듣기도 한다. 그러나 이들도 토착 폴란드인들이 워낙 좋지 않게 보기 때문에 로코소브스키를 영웅으로 찬양하지는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벨라루스의 경우 알렉산드르 루카셴코 정권으로 대표되는 친러 진영에서는 소련 계승의식이 매우 강하기 때문에 콘스탄틴 로코소브스키를 구국의 영웅으로 높이 평가하고 있다. 그러나 벨라루스 민족주의 세력으로 대표되는 반러 진영에서는 그냥 외국인 러시아의 위인 정도로만 여기고 있다. 반러 진영은 로코소브스키가 나치 독일을 격퇴한 명장이라는  것 자체는 높이 평가하고 있지만 그러한 그의 업적을 그저 소련 군인으로서의 업적으로만 여기고 있다.


전체댓글 0

  • 15461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소련의 앞잡이로 자국에서 환영받지 못한 폴란드의 영웅 콘스탄틴 로코소브스끼(Константин Рокоссовский, 1896~1968) 이야기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