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5-17(금)
  • 로그인
  • 회원가입
  • 지면보기
  • 전체기사보기
 

빈 살만의 원래 이름은 무함마드 빈 살만 알 사우드(محمد بن سلمان آل سعود)로 원래 빈 살만(Bin Salman)은 이름이 아니라 현 사우디아라비아의 7대 국왕인 살만 빈 압둘 아지즈 알 사우드(سلمان بن عبد العزيز آل سعود)의 아들이라는 뜻이다. 보통 아랍권의 이름에 대해 모르는 분들이 있어 소개를 시켜드리는 차원에서 설명을 하지만 아랍권 이름에서 아들은 빈(Bin), 혹은 이븐(Ibn), 딸은 빈트(Bint)라 붙여 사용한다. 


즉, 남성과 여성의 이름에 들어가는 일종의 성별 표시와 같은 것이다. 아랍 문화권 작명에 따라 무함마드 빈 살만 알 사우드(Mohammed bin Salman Al Saud)라는 이름을  해석해보면 이 인물의 이름은 무함마드이고, 그가 속한 씨족 이름이나 가문 이름은 '사우드(Saud)'이다. 여기에 아랍어 관사 '알(آل)'을 붙리면 '알 사우드(Al Saud)가 Family Name, 성씨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 인물의 이름을 명최대한 축약하면 무함마드 알 사우드(Mohammed Al Saud)가 된다. 즉, 사우드 가문의 무함마드가 되는 것이다. 그리고 광범위한 부계 씨족 집단 내에서 해당 인물의 사회적 위치가 어떤지를 확인하기 위해 이름에 부칭을 덧붙인다. 

 

230921115821-saudi-mbs-interview.jpg
사진 : Mohammed bin Salman, 출처 : CNN

즉, 빈 살만을 덧붙임으로 인해 이 사람이 '사우드 가문 중에서 살만의 아들인 무함마드' 라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나라 이름인 사우디아라비아(Saudi Arabia)라는 말 또한, "사우드 가문이 통치하는 아랍 국가(Arab country ruled by the House of Saud)"라는 뜻이다. 

 

따라서 아랍 씨족사회에 익숙한 사람은 상대가 속한 씨족과 그 3~5대에 걸친 부칭, 풀 네임을 들어면 대충 이 사람이 누구의 가문이자 친척인지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빈 살만의 생애를 보자면 1985년 8월 31일 살만 빈 압둘 아지즈 왕자와 그의 세 번째 아내 파다 빈트 팔라 알 히슬레인(Fada bint Falah Al Hislein) 사이에서 태어났다. 

 

살만 왕자는 히슬라인 왕자비 사이에서 총 6명의 자식들을 두었는데 빈 살만은 그 중에서 장남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살만 왕자가 그 이전부터 왕비와 첩들이 워낙 많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보면 8번째 자식이자 7번째로 태어난 아들이었다. 빈 살만의 어머니는 교육열이 매우 강했으며 아버지가 집에 있으면 반드시 겸상을 시켰다고 한다. 


아버지인 살만 왕자는 매우 정이 많은 성격이었기 때문에 이슬람의 다섯 의무 중에 하나로 자카트(Zakat)를 실천하기위해 기부를 자주 했는데 그와 같은 자선 행위가 걱정된 15세의 빈 살만은 본인 스스로 사업장을 내고 사업하겠다 언급했으며 16세 생일 이후로 가지고 있는 금과 패물 등을 모두 털어 주식 투자를 했고 여기에 엄청난 소질이 있었는지 그로 인해 엄청난 개인 재산을 모으게 된다. 

 

그리고 국내 대학인 킹 사우드 대학에 수석 입학하여 지적인 재능까지 겸비함으로써 아버지의 총애를 얻게 된다. 대학을 전체 4위로 졸업한 이후 사우디아라비아 정부를 돕는 민간 컨설턴트로 취직해 몇 년동안 비즈니스 통상업 분야에서 일하며 비즈니스로 인한 사회 경제를 어떻게 이끌어야 하는지에 대한 경험을 쌓게 된다. 대학생 때부터 아버지 주변에서 보고 배운 것이 많았기 때문에 2009년 당시 리야드 주지사였던 아버지의 특별 고문 역으로 이직하여 직업 정치에 입문하게 된다. 


그는 리야드 경쟁력 위원회 위원장, 킹 압둘 아지즈 연구보존재단의 이사장 특별 고문 등 다양한 직위들을 경험하면서 점차 권력을 축조할 수 있었다고 한다. 이 때 아버지 살만 빈 압둘 아지즈와 함께, 리야드 주(州)에 대부분 거주하는 수천 명의 사우디아라비아 다른 왕자들이 저지르는 온갖 부패와 갑질 같은 왕실의 품위를 해치는 행위를 엄격하게 단속하는 공식 윤리위원회를 만들었다. 

 

빈 살만은 아버지 살만 왕자와 더불어 이들을 단속하는 역할에 공정을 기하는 등 사우디아라비아의 일반인 젊은 층에게 민심을 얻으며 왕자로써 두각을 나타냈다고 한다. 이 때까지만 해도 무함마드 빈 살만은 권력이 제법 강한 왕자의 아들일 뿐이었다. 

 

하지만 당시 왕세자였던 술탄 빈 압둘 아지즈 왕자가 2011년 10월 건강이 악화되면서 사망하고, 그 뒤를 이어 새로운 왕세자가 된 나예프 빈 압둘아 지즈 왕자마저도 건강 악화로 연이어 사망하면서 사우디 왕실 체제가 급변하게 된다. 국왕 등극이 불가능해 보였던 빈 살만의 아버지인 살만 빈 압둘 아지즈 왕자가 마침내 새로운 왕세자가 되면서 빈 살만의 지위도 격상할 수 있었다.


그로부터 얼마 지나지 않은 2015년 1월 23일에 압둘라 국왕이 세상을 떠나자 살만 빈 압둘 아지즈가 새로운 국왕이 되었고 빈 살만은 실질적인 2인자 위치가 되면서 국방장관으로 사우디의 군권까지 틀어쥐게 된다. 살만 국왕은 즉위 직후 전 왕세자였던 나예프 빈 압둘 아지즈 왕자의 아들이자 자신의 조카였던 무함마드 빈 나예프(محمد بن نايف بن عبد العزيز آل سعود) 왕자를 자신의 후계자로 임명했다. 

 

물론 살만 국왕은 빈 살만을 왕세자로 임명하고 싶었지만 아직 왕위 계승 구도가 확실하지 않은 상황에서 사우드 왕가의 균열을 방지하기 위해 어쩔 수 없이 무함마드 빈 나예프 왕자를 후계자로 내정한 것이었다. 그 대신 무함마드 빈 살만 왕자를 권력의 핵심인 국방부 장관으로 임명하고 각종 권한들을 몰아주면소 무함마드 나예프 왕자를 정치적으로 견제했다.

 

살만 국왕이 조카 무함마드 빈 나예프 왕자를 일단 왕세자로 지명했지만, 형제 간의 권력을 둔 암투가 횡행하고 있던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친아들도 아닌 조카가 왕세자 자리에 존재하는 것이 정치적 불안정성이라는 화두를 계속 가져올 수밖에 없었다. 


결국 2017년 6월 21일, 살만 국왕은 나예프 왕자를 폐하고 친아들인 무함마드 빈 살만 왕자를 새 왕세자로 봉한다는 칙령을 내렸다. 사실 국왕의 친아들도 아닌 조카뻘인 나예프 왕자가 왕세자 자리에 오래 머물지 못할 것이라는 관측은 2015년부터 서방권과 러시아에서도 꾸준히 제기 되어 왔던 추측 중 하나였다. 

 

이에 따라 왕위 계승에 있어서 세대 교체는 물론, 사우디아라비아 최초로 부자 상속까지 확정지으면서 절대 권력을 행사할 수 있게 되었다. 무함마드 빈 살만이 왕세자로 등극하자 국제적으로도 그의 왕세자 즉위에 축하하는 말들이 많았다. 대표적인 사례가 당시 미국 대통령이었던 도날드 트럼프 대통령이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빈 살만에게 가까운 협력 관계를 유지할 것이라는 말까지 남기기도 했으며, 빈 살만 왕세자와 트럼프 대통령은 테러리즘에 대한 공동 대응, 카타르와의 외교 분쟁,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갈등 등 여러 문제들에 대해서도 함께 대응할 것임을 천명했다. 만약 바이든이 아닌 트럼프 대통령이었으면 현재 하마스-이스라엘 전쟁이 발발할 수 있었을까?


특히 여기서 주목할 수 있었던 것이 당시 빈 살만 왕세자의 발언이었는데, 빈 살만 왕세자는 워싱턴 포스트와의 인터뷰에서 "미국이 없었다면 우리는 북한과 같은 상황이 되었을 것이다"라 언급하기도 했다. 참고로 빈 살만은 도날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한 회담에서도 통역 없이 대화할 정도로 영어를 잘 구사하는데 이는 빈 살만 뿐만 아니라 모든 사우디 왕가가 영어를 능숙하게 구사한다. 

 

이는 사우드 가문의 왕자와 공주들이 태어나서 가장 먼저 배우는 언어는 아랍어가 아니라 영어이기 때문이다. 영어를 구사하는 가정교사와 보모 밑에서 성장하다가 6~7세부터 아랍어를 개인과외로 배우기 때문에 영어가 모어이고 아랍어가 제1 외국어다. 그러다보니 영어가 아랍어보다도 좀 더 편하게 느껴지는 것이다. 

 

미국 뿐 아니라 영국, 호주 등 영어권 국가들의 원수와 사우디 측이 회담을 가질 때 통역 자체가 필요 없기 때문에 영어권 국가들과 큰 이질감 없이 대화가 가능하다. 그러나 최근에는 빈 살만이 왕가의 자제들에게 러시아어를 제2 외국어로 도입해 의무적으로 배우게 하고 있다고 한다. 그만큼 사우디 입장에서는 앞으로 중요한 고객이 될 것임을 알고 있기 때문이다. 


전체댓글 0

  • 45537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무함마드 빈 살만의 일생과 사우디아라비아 정권 장악 과정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