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5-21(화)
  • 로그인
  • 회원가입
  • 지면보기
  • 전체기사보기
 


20240226140518_bquuygvf.jpg
이희주 시인(사진=이희주 시인)

 


본인 소개

 1962년 충남 보령의 한적한 바닷가에서 태어나 주로 저녁 노을을 보며 자랐다. 한양대학교 국문학과를 졸업했고 1989년 『문학과 비평』 가을호에 시 16편을 발표하면서 문단에 나왔다. 그 해 12월 한국투자증권의 전신인 한국투자신탁에 공채로 입사해 2022년까지 33년 장기근속했다. 영업점, 경제연구실, 마케팅부, 홍보실 등을 두루 거쳤고 커뮤니케이션본부장 전무로 퇴임했다. 1996년 개인시집 『저녁바다로 멀어지다』를 출간했고 이번에 두 번째 시집 『내가 너에게 있는 이유』를 펴냈다. 2010년부터 2년간 한국시인협회 감사직을 겸했다. 지금은 조용한 곳에 머물며 그동안 못 쓴 글을 쓰고 있다.


 시집 『내가 너에게 있는 이유』를 소개하면

 문학평론가 임지훈 씨는 이 시집에 대해 “쓸쓸한 도시의 밤을 수놓는 수많은 불빛과 반짝이는 술잔들을 닮아 있다”고 평했다. 시집은 주로 외롭고 쓸쓸한 현대인들의 모습을 담고 있으며 총 4부, 68편이 수록됐다. 직장생활 시절 쓴 시와 퇴직 후 쓴 시가 반반 정도다.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 일반인들의 존재에 대한 사유와 쓸쓸한 사람들에 대한 위로가 큰 주제를 이룬다, 여기에서의 ‘너’는 2인칭인 당신이 될 수도 있고 3인칭인 그들이 될 수도 있다. 직장이나 사회나 우리가 소속 되어 있는 조직이 될 수도 있다. 내가, 우리가 세상에 존재하는 이유를 탐구하고 있다.


 시집 발간 동기

 첫 시집 출간 후 27년, 직장 퇴직해서는 2년 만에 발표하는 시집이다. 경쟁이 치열한 직장생활을 하는 동안 겪은 소회와 퇴직 후 느낀 심경을 하나로 묶었다. 현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내가 누구인가, 내가 어디에 어떻게 존재하고 있는가를 한번쯤 돌아보라고 말하고 싶었다. 또한 내 삶의 과정에 있어 하나의 매듭을 묶는 것이기도 하다. 이제 앞으로 내놓을 세 번째 시집은 직장을 떠나 자유로운 영혼의 이야기가 될 것이다. 새로운 시적 탐구에 들어서게 되는 것이다.


이희주 시집 사진.jpg

 시집을 내면서 겪은 재미있는 에피소드

 시집 3부는 연애시 형태를 띠고 있다. 그러다 보니 ‘연인’에 대한 이야기가 많고 ‘그대’라는 호칭이 자주 등장한다. 이 또한 상상력을 통해 우리의 존재에 대해 다양한 질문을 던지는 시적 화법의 하나이다. 이에 대해 잘 알고 있는 아내지만 한켠으로는 ‘그대’가 누구인지 의심하는 것 같다. 내게 가끔 “그대가 누구야?” 묻는다. 그러면 ‘당신’이라고 말한다. 다양한 그녀가 나오는데 그게 다 자기라고 생각하지는 않는 눈치다. 문학은 실화도 있지만 대부분 픽션임을 아내가 모를 리 없다.


 애착이 가는 자작시 한 편 소개

 <종점>이라는 시를 소개하고 싶다. 무엇이든 생각하기 나름인 것 같다. 종점을 마지막 종착지가 아니라 다시 출발하는 출발점이라고 생각할 수 있는 사고의 전환 같은 것 말이다. 이별도 눈물도 뒤집어 보면 다 새롭게 출발할 수 있는 모멘텀이 될 수 있다. 세상을 그런 시각으로 바라봤으면 좋겠다.


 종 점


 나는 주로 변두리에서 살았다

 흐린 외투 하나 걸친 바람

 민들레 꽃씨 후후 불며 서성이던 곳


 사람들은 그곳을 종점이라고 불렀으나

 나에겐 그곳이 곧 출발점이었다


 이별도 만남도 다 같은 것이었다


 밤차를 타고 돌아와

 다음날 아침 또다시 떠나는

 종점은 내겐 늘 새로운 시작이었다


 돌이켜보면 눈물도 같은 것이었다


 앞으로의 계획

 글과 관련된 게 제 계획의 전부다. 지금 소설을 구상하고 있는데 소설집을 내고 내가 주로 일해 온 커뮤니케이션을 주제로 한 에세이집도 집필할 생각이다. 시창작, 글쓰기 같은 재능기부 강의도 준비하고 있다. 그리고 내 딸이 사진을 잘 찍는데 딸의 사진에 내가 시를 붙여서 딸과 아빠가 함께 만든 디카시집 출판도 계획하고 있다. 어쩌다 보니 직장생활보다 더 바쁜 것 같다.


독자들에게 한마디

 시는, 문학은 농사처럼 사람들의 가슴, 즉 사람들 마음의 땅에 언어라는 씨앗을 뿌려 푸른 식물을 키워내는 일과도 같다. 시를 많이 접하다 보면 가슴이 푸르러지며 더욱 풍요롭고 의미 있는 세상과도 만나게 될 것이다. 일상 화법과는 다른 시적 화법을 접하면서 세상을 더 깊이, 더 섬세하게 들여다볼 수 있기를 바란다. 미(美)라는 것은 마음에서부터 출발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뷰티라이프 독자 분들의 아름다움을 응원한다.



BEST 뉴스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이희주 시인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