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5-17(금)
  • 로그인
  • 회원가입
  • 지면보기
  • 전체기사보기
 

2013년 초 마케도니아 수도 스코페(Skopje)에서 마케도니아계와 알바니아계 두 민족 간의 충돌이 다시 발생하였고, 이로 인해 경찰 13명을 포함해 최소한 22명이 부상을 당했었다. 당시 이러한충돌의 배경은 2주 전, 마케도니아 정부가 알바니아계를 평화적으로 흡수하기 위해, 지난 2001년 마케도니아 내전에서 알바니아계 반군을 이끌었던 탈라트 자페리(Talat Xhaferi)를 마케도니아 국방장관에 내정한 것이 발단이 되었다고 볼 수 있겠다. 마케도니아의 대다수 슬라브계 주민들은 2001년에 발생한 알바니아계 소수 민족 및 코소보 연합과의 내전과 이러한 내전 상황을 종결 시킨 오흐리드 협정(Ohrid Agreement, 2001년 7월 5일) 이후 오랫동안 마케도니아 국내에서 알바니아계 민족들의 권리가 무분별하게 증진되면서 슬라브계와 권익을 동등하게 해달라는 소리 또한 계속해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일련의 목소리들로 인해 절대 다수 슬라브계들의 반발을 샀고 그러면서 위기가 고조되었다. 이러한 우려와 반대의 목소리가 한데 집약된 것이 2013년 마케도니아 슬라브계의 반(反) 정부 및 반(反) 알바니아 시위라 할 수 있다. 


01_albanian_heroes_wall_skopje.jpg
사진 : The Albanian heroes' wall in Skanderbeg Square, in Skopje's Albanian-majority district of Çair, reflects the recent visibility of the Albanian national narrative in North Macedonia. Author : Miguel Fernández Ibáñez, 출처 : Nationalia World news - Stateless nations and peoples and diversity, By MIGUEL FERNÁNDEZ IBÁÑEZ

 

이웃 국가인 코소보 등 옛 발칸 지역들에서 발생한 민족 간의 충돌은 유고슬라비아가 해체되면서 빈번하게 발생해왔고 주민족인 마케도니아 슬라브계 주민들의 시위 확대는 소수 민족인 알바니아계의 반발과 그에 대한 맞불로 이어진 시위로 확대되었다. 알바니아계 주민들은 마케도니아 슬라브계 시위자들이 2명의 알바니아계 주민들을 집단 구타하며 인종 혐오를 했다고 주장했고 더불어 알바니아 국기 및 상징물들을 불태웠다고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혐오는 이어 폭력 시위로 발전되게 되었다.  이와 같은 폭력 시위로 인해 마케도니아 정부 경찰차들을 비롯해 상당수의 차량들이 파괴되었고, 버스 정류장 등 공공시설들이 공격을 받아 파괴되기도 했다. 결국 시위는 마케도니아 정부가 군을 동원해 강제 해산시키면서 일단락 되기는 했지만 이후에도 간간히 알바니아계와 마케도니아 슬라브계의 인종혐오와 폭동은 이어졌다. 이어 최근 들어 ‘마더 테레사’의 국적을 마케도니아 역사교과서 마케도니아인이자 마케도니아 출신으로 표기했고 테레사 수녀의 동상을 만들면서 ‘마케도니아 출신’라고 명문(銘文)을 새겨 넣자 이번에는 알바니아 정부가 공식항의에 나서고 알바니아계가 다시 시위를 벌이면서 최악의 대립이 발생하고 있다. 


그런데 문제의 핵심은 마더 테레사가 1910년 8월 스코페(현재의 북마케도니아)에서 출생했을 때는 현재의 북마케도니아라는 나라도 알바니아라는 나라도 존재하지 않았다는 점에 있다. 더불어 2001년 코소보 전쟁 중 피신 온 알바니아계가 지속적으로 시위를 벌이며 주요 국민들인 마케도니아 슬라브계와 감정적으로 대립이 발생했던 탓에 현재도 북마케도니아는 알바니아인을 매우 부정적으로 바라보고 있다. 한편 북마케도니아 서부 지방 인구의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던 알바니아계는 신생 북마케도니아의 또 다른 불안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알바니아는 북마케도니아 지역이 자신들의 조상들이 거주하던 지역이자 발칸 무슬림의 시작점이라 주장하며 아예 영유권 주장까지도 하고 있다. 이어 2010년대 들어 점차 강력해지고 있는 알바니아 민족주의는 발칸 곳곳에서 소요 현상을 일으켰다. 더불어 IS까지 알바니아 무슬림들 사이에서 이슬람 원리주의를 내세워 알바니아계의 투쟁을 직접적으로 지원했다. 특히 이들의 목표는 국경 밖의 알바니아인 거주 지역을 모두 알바니아로 통합하여 ‘대 알바니아’를 만드는 것이다. 


2023년 기준으로 북마케도니아 인구는 약 205만 명이며 그 중 알바니아 인은 그 인구의 1/4인 25%에 육박하고 있다. 1991년에 유고슬라비아가 해체되면서 독립한 이후, 마케도니아의 알바니아인들을 크게 자극했던 부분은 마케도니아의 선거가 공평하게 치뤄지지 않았다는 것에 있다. 마케도니아에서 알바니아인은 대개 25% 정도의 비율을 유지하였는데, 독립한 이후, 의회선거에서 알바니아인 의원은 15%정도에 불과하면서 알바니아인들을 부정선거를 주장하여 선거 불복을 선언했다. 이는 마케도니아 공화국이 게리멘더링을 통해 마케도니아 슬라브계에 유리한 선거구를 확정했기 때문에 알바니아 인들을 무척 분노하게 했다. 더불아 1992년 7월 마케도니아 슬라브계 측에서 극단적인 민족주의자들이 알바니아 민족 정당 당수에 대한 암살 미수사건을 일으키고, 수도 스코페에서 마케도니아 경찰이 알바니아인 불법 담배 노점상들을 가혹하게 폭행하면서 마케도니아인과 알바니아인 사이는 완전히 분열되었다. 이와 같은 민족 갈등은 1995년 알바니아 인들이 서부 마케도니아에 거주하고 있는 알바니아 인을 위해 대학을 설립하려던 것을 마케도니아의 중앙 정부가 강제로 철거했다. 


이에 대한 맞대응으로 알바니아 민족주의자들이 마케도니아 대통령인 키로 글리고로프(Киро Глигоров)에 대한 암살 미수 사건을 발생함으로써 폭발하였다. 이어 1998년에는 알바니아와 코소보 일대에 거주하고 있던 무장 단체들이 마케도니아의 법원, 경찰서 등을 공격하는 등 갈등이 지속되었다. 설상가상으로 마케도니아 정국이 계속 혼란스러운 상황이 이어지면서 코소보에서 세르비아가 행하고 있는 알바니아 인들에 대한 공격을 피해 알바니아 인들이 마케도니아로 밀려들어오기 시작하자, 마케도니아 중앙 정부는 이들에 대한 위기감이 한층 고조되면서 당시 평화롭게 지내던 마케도니아 슬라브계 주민들의 불만이 증폭되었다. 1999년 코소보 전쟁으로 코소보에서 36만여 명의 알바니아계 난민들이 피난을 오면서 북마케도니아는 심각한 치안 위기와 전쟁을 휩쓸릴 불안한 사태를 맞이했다. 물론 전쟁이 종결된 직후에 이들은 다행히 북마케도니아를 떠났다. 그러나 코소보 알바니아 인들이 계속 들어오자 서부 마케도니아에서 알바니아 인들에 대한 비율은 더욱 증가했다. 


코소보 알바니아 반군과 마케도니아 알바니아 반군의 연대로 인해 서부 마케도니아 일대에서 마케도니아 경찰과 행정조직에 대한 공격이 광범위하게 발생하게 된다. 이로 인해 마케도니아가 서부 마케도니아에서의 영향력을 급속히 잃게 되면서 통제권을 상실했다. 더불어 나토와 집단서방, 미군이 마케도니아에 개입하면서 마케도니아에 대한 지지 성명을 발표했다. 그리고 마케도니아군에 대한 군수물자 지원, 고문단 파견 등 다양한 방식으로 마케도니아를 지원했다. 이에 서구 뿐 아니라 발칸 슬라브 국가들의 후원자를 자처하는 러시아도 마케도니아를 지원하면서 상황은 역전이 되었다. 결국 2001년 7월 5일 마케도니아 정부와 알바니아 반군들은 미국의 중재안을 받아들였다. 알바니아인들은 서부 마케도니아에서 자치권을 인정받는 대신 알바니아와의 통합을 포기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합의 이후에도 중앙정부-자치정부의 갈등, 마케도니아인과 알바니아인 사이의 갈등은 여전히 발생하고 있다.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북마케도니아 내 또 다른 분쟁의 불씨, 알바니아계와 갈등 문제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