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6-30(일)
  • 로그인
  • 회원가입
  • 지면보기
  • 전체기사보기
 
20240528_073855.png
자동차 생산과정이다.(사진=유튜브 캡쳐)

 

대한민국의 산업 중심지에서 대기업 노동자들의 정년 연장 요구가 점점 더 뜨거운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현대자동차를 비롯한 HD현대중공업, HD현대삼호, HD현대미포 등의 조선 3사 노조가 최근 노사 협정에서 정년 연장 카드를 내밀며 협상 테이블에 앉았다. 이들은 국민연금 수급 개시 연령이 63세에서 65세로 연장됨에 따라 정년도 함께 연장되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현대 A 기업에서 곧 퇴직을 앞둔 최 모 씨(58)는 현재 자격증 시험 준비에 몰두하고 있다. 퇴직 후 자립적인 삶을 영위하기 위해 소방설비 자격증을 취득 후 이제는 전기기계 자격증을 준비 중이다. 최 씨처럼 정년을 앞두고 두 번째 경력을 준비하는 중·장년층이 울산 지역에서 점점 늘고 있다.


정년 연장의 필요성을 느끼는 이유 중 하나는 퇴직 이후의 경제적 불안정이다. 또 다른 조선 계열사에서 근무하는 정 모 씨(55)는 이미 소방설비기사와 전기기능장 자격증을 취득했다. 정 씨는 실업급여만으로는 불안한 미래를 보장받기 어렵다고 토로하며 정년 연장이 그나마 미래에 대한 막막함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이라고 언급했다.


이러한 정년 연장 요구에 대해 울산대학교 경영학 교수 김병직은 복잡한 이해관계를 지적하며 이 문제가 단순한 찬반 논리를 넘어선다고 설명한다. 김 교수에 따르면, 기존 세대의 정년 연장은 신입 세대의 고용 기회를 제한할 수 있다. 이는 고령화와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젊은 세대의 고용안정성을 높여야 한다는 필요성과 충돌한다.


국민연금과 연계하여 정년을 연장하자는 노조의 주장에 대해서는 일부 젊은 세대와 기업들이 반발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정년 연장이 국민연금 제도 자체를 무너뜨릴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높은 인건비를 유지하면서 동시에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해야 하는 기업의 입장에서는 인건비 증가가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김 교수는 덧붙였다.


결국, 울산 지역의 대기업들이 직면한 정년 연장 문제는 다양한 세대와 기업, 경제 전체의 이해관계가 얽힌 복잡한 이슈로, 노사 협정에서의 정년 연장 논의는 향후 몇 년 간 지속될 전망이다. 노사 협상은 이러한 복잡한 문제들을 어떻게 조율할지에 대한 진지한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는 울산뿐만 아니라 전국적으로 고령화 문제를 해결하는 방향을 제시할 중요한 사례가 될 것이다.

태그

전체댓글 0

  • 54462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고령화와 정년 연장, 울산 지역 대기업 노조의 쟁점 분석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